카테고리 없음

북한 김일성이 개입 안한 남한 난동 폭동 있었나?

중일사랑 2023. 5. 20. 21:42

아직도 5.18의 본질이 안 보이는 대통령은 우리 대통령이 아니다. 이재명 꺾는 데까지만 지지하고 다음은 국민의힘 5.18카르텔 숨은 리더 김무성과 그의 손아귀를 못 벗어나는 윤석열도 우리의 적임을 분명히 할 것이다.

5.18에서 시작해서 부정선거로 마무리되는 좌익 승리의 역사를 “자유민주주의 승리로 읽는” 윤석열 대통령 실망스럽다. 비례대표 재검해 보라. 더 이상의 증거가 불필요하다. 왜 못 열어보나? 그것이 바로 대한민국 좌익의 맨 얼굴이기 때문이다. 자유민주주의 입에 올리려면 선거의 공정성에 대한 신념은 절대적이어야 하지 않나?

대놓고 불법 저지르는 이재명과 범 좌익보다 내전적 상황에서 중립 운운하며 투항한 국민의힘과 윤석열이 더 가증스럽다.

임을 위한 행진곡의 임이 누구인지 정말 모르나? 1948년 8월 15일 일본군으로부터도 미군으로부터도 벗어나 드디어 헌법 만들어 수립한 자유민의 공화국 대한민국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제발 그만 속고 속이자.

윤석열. 탄핵의 칼잡이에서 환골탈태하라!

 

-----------------------

PICK 안내

민노총 홈피 ‘처음처럼’, 유튜브 댓글 ‘오르막길’…北과 교신 암호였다

입력2023.05.10. 오후 4:13
 
 수정2023.05.10. 오후 9:30
 기사원문

수원지검 공공수사부(부장 정원두)는 10일 민주노총 전·현직 간부 4명을 간첩 등의 혐의로 재판에 넘기면서 이들이 민노총 홈페이지와 유튜브 댓글 등을 대북 연락 수단으로 활용했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북한은 작년 8월 8일 이들에게 보낸 지령문에서 “현재 보안상 소식을 보낼 조건과 환경이 되지 못하여 주저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우리가 안심할 수 있게 영업1부(민주노총) 자유게시판에 ‘처음처럼’이라는 필명 혹은 제목에 반영한 글이라도 올려주기 바람”이라고 했다. 검찰은 실제 민노총 게시판에 이런 글이 올라온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이들은 교신을 주고받을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총회장님’, 북한 문화교류국은 ‘본사’, 지하조직은 ‘지사’로 지칭했다. 민주노총은 ‘지사’의 지도를 받는 조직이라는 차원에서 ‘영업1부’로 불렸다.

박광현 수원지방검찰청 인권보호관이 10일 오전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지방검찰청 브리핑실에서 '노동단체 침투 지하조직' 국가보안법위반 사건 중간 수사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뉴스1
북한은 또 2019년 9월 7일 보낸 지령문에서 “연락문을 주고받는 과정이 정상화되기 전까지 본사(문화교류국)에서는 신호선을 이메일과 함께 종전의 ‘실개천’을 병행 이용하도록 하겠음”이라고 했다. 검찰 확인 결과 실제 민주노총 홈페이지 게시판에 ‘실개천’ 명의로 쓴 글이 올라왔다고 한다. 이 글엔 난수표를 포함해 암호해독 코드 등이 담겼다고 한다.

북한과 민노총 전·현직 간부들은 유튜브 동영상 댓글을 통해서도 연락을 주고받았다. 북한은 작년 8월30일자 지령문에서 “소식을 받는 즉시 유튜브 동영상 댓글에 문자 ‘토미홀’을 포함시킨 필명이나 글을 올리면 출장 나올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준비하겠음. 9~10월이 불가능하다면 문자 ‘오르막길’을 포함시킨 글을 매달 18~20일에 올리다가 출장이 가능한 두 달 전에 ‘토미홀’로 해주기 바람”이라며 유튜브 링크를 보냈다. 해당 링크는 오토바이 관련 영상으로 연결됐는데 관련 보도가 나오면서 사려졌다고 한다.

북한은 A(52) 전 민노총 조직쟁의국장과 해외에서 접선하기 위해 구체적인 지령을 내리기도 했다. 2019년 7월 10일자 지령문엔 “만남 5분 전에 약속 장소 위치에서 대기하다가 정시에 ‘손에 들고 있는 생수 물병을 마시는 동작을 실행하라’”고 적혔다. 이어 “북측 공작원이 동작을 확인한 뒤 7∼8m 거리에서 손에 들고 있던 선글라스를 손수건으로 두세차례 닦는 동작을 하라”고 했다.

만약 미행이 있을 경우 휴대전화로 “두통이 와서 병원에 가겠다”고 알려주겠다면서, 이후 미리 알려준 2차 장소에서 대기하라고 지시했다. 전화 통화가 어려울 경우엔 북한 공작원이 담배를 피워 물면 미행이 있다는 신호로 알고 현장에서 이탈하라고 했다.

송원형 기자 swhyung@chosun.com